새로운 팀 프로젝트에 앞서 개발자는 2명 뿐이지만 어떤 브랜치 전략을 도입해야할지 고민하던 찰나 잘 정리된 영상을 보게 되어 정리해보았다.
물론 이와 관련해서 검색하면 더 나오긴 하지만 Git 브랜치 전략은 늘 다시 보게 되고, 늘 헷갈리는 것 같다.
다시 한 번 헷갈리지 않고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 이번 영상을 정리해본다.
목차
- Branch 전략이란?
- Github flow란?
- Git flow란?
- 우린 무엇을 사용해야할까?
Branch 전략
- 평상시 우리의 branch 사용 유형
- 혼자 개인 프로젝트 개발을 할 때 -> 문제도 자신이, 규칙도 자신이 책임진다
- 코드의 수정, 기능 개발 등을 할 때만 branch를 여는 유형
- 하나의 branch만 사용하는 유형
- 팀으로 프로젝트 개발을 할 때
- branch명에서 생성자와 생성목적이 드러나지 않을 때
- branch의 사용이 끝났는지 여부를 알 수 없을 때
- 새로 개발을 하고 싶은데 어떤 브랜치를 사용해야하는지 알 수 없을 때 => 많은 불편함과 문제점이 발생
- 여러 명의 개발자가 1개의 저장소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나온 개념
- 거의 모든 기업들이 사진들의 상황에 맞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
- 대표적인 전략 : Github flow, Git flow, GitLab flow
- 혼자 개인 프로젝트 개발을 할 때 -> 문제도 자신이, 규칙도 자신이 책임진다
Github flow
- Github에서 만든 단순한 구조의 브랜치 전략
- Master 브랜치를 중심으로 운영되며, 기능 개발 버그 수정 등의 작업용 브랜치를 구분하지 않는 단순한 구조
- 수시로 배포가 일어나는 프로젝트에 유용하다
- 3주의 주기로 출시하던 2016년 1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우아한형제들(안드로이드 모바일 파트)에서도 사용한 전략이다
- 생명 주기
- 브랜치 생성
- Master로부터 기능추가, 버그 수정 작업을 위한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한다
- 이때 commit 메시지와 브랜치 이름은 정확하고 간결하게 작성해야 한다
- 기능 추가, 버그 수정 작업을 하는 모든 브랜치는 master로부터 나온다
- 기능 개발, 버그 수정
- 작업을 하며 기능별로 commit을 한다
- commit 메시지는 정확하고 간결하게 작성해야 한다
- commit은 서버의 동일한 브랜치에 push해줘야 한다 (Git flow와 차이점)
- Pull Request
- 기능 또는 오류 수정이 완료되었으면 PR을 보낸다
- 리뷰와 논의
- PR을 통해 팀원과 작성한 코드에 대한 리뷰와 논의를 한다
예) 코딩 스타일이 프로젝트 가이드라인에 맞지 않는다. 메소드 위치가 올바르지 않은 것 같다.
- PR을 통해 팀원과 작성한 코드에 대한 리뷰와 논의를 한다
- 공개 및 테스트
- Github에서는 Master에 합치기 전에 브랜치에서 코드를 공개 및 테스트 할 수 있다
- PR상의와 테스트가 끝난 경우 (테스트 버전으로) 공개할 수 있다
- 오류가 발생하 경우 원래의 master 브랜치를 다시 배포하여 roll back한다
- 합치기
- Branch의 검증이 완료되면 메인 브랜치에 합친다
- 브랜치 생성
Git flow
- Git flow는 Vincent Driessen이 2010년에 제안한 Branch Model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현재는 많은 기업에서 표준으로 사용하는 브랜치 전략이다
- Github flow와는 다르게 크게 5개의 브랜치를 운영하며 관리를 한다
- 메인 브랜치 : master, develop
- 보조 브랜치 : feature, release, hotfix
- 배포 주기가 길고 팀의 여력이 있는 경우 적합하다
- 우아한형제들(안드로이드 모바일 파트)도 2017년 6월 Github flow에서 Git flow로 전략을 변경하였다
- 메인 브랜치들의 특징
- Master와 Develop 브랜치가 있다
- 두개의 브랜치는 항상 남아있는다
- Master 브랜치 : 제품으로 배포할 수 있는 브랜치
- Develop 브랜치 : 개발자들이 개발을 하는 브랜치
- 보조 브랜치의 특징
- feature, release(QA), hotfix 브랜치가 있다
- 사용을 마치면 브랜치를 삭제한다
- Feature 브랜치
- 브랜치가 분기/머지 되는 곳 : develop
- 이름 : master, develop, release-*, hotfix-*를 제외한 이름 가능
- feature 브랜치는 하나의 새로운 기능을 만들 때 생성한다
- develop에 merge 후에는 삭제!
- merge할 때는 --no-ff를 사용하여 기록을 그룹화한다
- --no-ff : Fast-forward관계에 있어도 merge commit을 생서아여 해당 브랜치가 존재하였다는 정보를 남길 수 있고, commit기록을 되돌리기 편해짐
- 사용하지 않으면 브랜치의 존재 여부를 몰라 어떤 commit부터 해당 기능을 구현했는지 확인하기 어렵다
- Release 브랜치
- 브랜치가 분기 되는 곳 : develop
- 브랜치가 머지 되는 곳 : develop & master
- 이름 : release-*
- 다음 버전 출시를 위해 QA를 진행하는 브랜치
- 버그 수정 및 버전 번호, 빌드 날짜와 같은 메타 데이터를 준비하며 기능 개발은 금지된다
- merge할 때는 --no-ff를 사용하여 기록을 그룹화한다
- master로 merge 후에는 tag 명령을 통해 버전을 명시한다
- Hotfix 브랜치
- 브랜치가 분기 되는 곳 : master
- 브랜치가 머지 되는 곳 : develop & master
- 이름 : hotfix-*
- Production에 버그가 발생하면 빠른 수정을 위해 생성하는 브랜치
- Production 코드를 수정하는 중에도 develop에서는 계속 개발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
- master로 merge 후에는 tag 명령을 통해 이전 버전보다 높은 버전을 명시한다
예) 1.2 -> 1.2.1
- 전체적인 흐름 요약 (iOS 업데이트 예시)
- 애플의 개발 전략은 비공개이며 이해를 돕기 위해 대입한 예시
우린 무엇을 사용해야할까?
- 팀의 브랜칭 전략은 조직의 규모, 서비스의 특징 등을 고려하여 협의를 통해 전략을 결정해야한다
- Production의 공식 배포 주기가 길고 QA, 테스트, hotfix 등의 여력이 있으면 Git flow가 적합하다
- 지속적으로 테스트 및 배포를 하는 팀의 경우 간단한 Github flow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
- Work-flow를 필요 이상으로 복잡하게 만드는 것은 좋지 않다
참고자료
'회고 > 세미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토스 SLASH 21 - Micro-frontend React, 점진적으로 도입하기 후기 (0) | 2022.07.02 |
---|---|
[10분 테크톡] 결의 브라우저 렌더링 후기 (0) | 2022.06.11 |
토스 SLASH 21 - 실무에서 바로 쓰는 Frontend Clean Code 후기 (0) | 2022.05.30 |
토스 SLASH 21 - 프론트엔드 웹 서비스에서 우아하게 비동기 처리하기 후기 (0) | 2022.05.16 |
4월 우아한테크세미나 <지속가능한 SW 개발을 위한 코드리뷰> 후기 (0) | 2022.05.09 |